분류 전체보기(9)
-
(20221004) [Accumulator 연구일지] 셀홀더 설계
셀홀더를 다음과 같이 설계했다. 3D 프린터에서 PC 필라멘트로 출력할 것으로 생각하고 설계했다. 셀홀더가 강도가 내열성이 있기 위해서는 PC가 적합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래에 튀어나와 있는 이유는 부스바에 달리는 아래에 있는 온도센서가 닿지 않게 하기 위함이였다. 셀홀더 옆판에는 고정시키기 위해 인서트를 넣기 위해 일부러 8T 로 했고, PC 판도 무게가 어느 정도 있기에 경량화를 위해 안쪽에는 4T 로 설계하였다. PC 필라멘트는 동아리방에 있었으나 PC 필라멘트가 출력 조건이 까다로워서 출력할 곳을 찾기가 너무나 어려웠다. 공학입문설계를 듣는 해준이를 따라서 FABLAB을 갔더니, 교수님께서 3D 프린터 출력을 허용하셨으나 PC 필라멘트를 출력한다는 이유로 반대하셨다. FABLAB에 있는 프린터는..
2022.10.04 -
(20220920) [Accumulator 연구일지] 셀 선정
1. 셀 선정 셀은 다음과 같이 3가지 종류로 나뉜다. 파우치형, 각형, 원통형. 주로 많은 자작자동차 대회에 파우치형이나 원통형 전지로 배터리팩을 구성하여 참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배터리팩을 구성하는 셀을 선정해야 했다. 선배님께서 엑셀표에 다양한 배터리 셀을 정리해주셔서 이 엑셀표를 바탕으로 가장 적합한 셀을 선정하였다. 1) Series 선정 배터리팩 전압은 직렬연결 수에 비례한다. 600V(KSAE규정)/4.2V(최대전압)=142S 단, 138S 로 설정한 이유는 orion bms의 구역별 절연이 100V이기에 이를 넘지 않은 선에서 구성해야 했다. 138s/6segment=23s. 한 세그먼트당 23s 인데 23*4.2=96.6이고, 24*4.2는 108이므로 한 세그먼트당 23s로 구성해야..
2022.09.20 -
(20220917) [Accumulator 작업일지] 홍대 방문 및 동방 청소
홍대 라이트온에서도 배터리 박스를 알루미늄으로 제작했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조언도 얻고 궁금한 것도 물어볼 겸 홍대 라이트온 동방에 방문했다. 배터리 박스를 어떻게 해야 할지 완전한 결론을 못 세우긴 했지만 우리 배터리 박스에서 개선할 점을 생각할 수 있어서 매우 좋았다. * 박스 브라켓 부분에 모두 다 탭을 내지 말고 손이 들어가는 부분은 너트로 체결하게끔 하면 좋을 것 같다. * 박스 브라켓 부분 중 손이 안 닿는 부분은 홍대에서 조언해준 대로 하는 것도 좋을 듯 하다. 오후 2시쯤에는 동방으로 다시 와서 청소를 했다. 앞으로도 이렇게 깨끗하게 배터리방을 사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2022.09.20 -
(20220908) [Accumulator 작업일지] 부스바 설계
이번주 월화수목 내내 거의 셀에 달아야 할 부스바만 설계했다. 먼저 부스바에 흘러야 하는 허용전류를 계산했다. P=VI여서 다음과 같이 계산이 되었다. 80000[모터규정]/(138*2.5V)[배터리팩 최소 전압]=231A 부스바 허용전류표를 보았는데, 나는 최대한 얇게 해야했는데(2T 정도여야 좋겠다고 생각했다), 표들은 거의 3T가 기본이였다...그래서 따로 부스바 허용전류 방정식으로 허용전류를 계산해야 했다. 인터넷에 찾아보니 부스바 허용전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되었다. https://www.scribd.com/document/513571114/%EB%B6%80%EC%8A%A4%EB%B0%94-2 계산을 위해서 선배님께서 미리 만드신 자료를 활용했다. 상온을 기준으로 계산했고, 배터리의 온도상승을..
2022.09.12 -
(20220905) [Accumulator 작업일지]
1. 삼성 21700 datasheet을 보니 배터리 셀의 보관방법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0-23도 이내, 습도 65% 아래에서 보관하라고 하고 있고, datasheet에 적혀있는 voltage보다 더 낮게 유지하라고 되어 있다. 배터리방에서 항상 에어컨을 키고 있어서 0-23도가 유지되고, 습도 65% 아래에서 보관하려면 제습제를 사가는 것이 좋을 것 같았다. 그리고 인터넷에서는 신문지가 수분을 흡수하는 데에 유용하다고 했다. 태풍이 와서 비가 끊임 없이 와서 결국 제습제를 마트에서 구매하고 도서관에서 신문지를 몰래 여러장 가져왔다. 전압도 몇개 다시 측정해보았는데 datasheet에 있는 범위에 부합했다. 결론적으로 비 오는 날 습도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주변에 제습제도 ..
2022.09.12 -
(20220830) Accumulator 작업일지
1. 셀에 다는 부스바를 생각해보았다. 중앙대에서는 부스바를 안달고 니켈 플레이트만 달았는데, 우리 셀의 경우에는 니켈 플레이트만 달면 허용 전류가 너무 적을 것 같았다. 일단 최대 출력을 기준으로 계산해보았다. 52kW*2(모터를 2개 사용하고 모터의 최대출력이 52kW임)/2.5V*138(배터리 최저전압이 2.5V이고 138직렬임) =301A 정도 나왔다. 니켈 플레이트의 허용전류는 이렇다고 한다. 동부스바의 허용전류는 이렇다고 한다. 301A 이상을 버텨야 하니까 3*30 짜리 부스바를 사용하면 좋을 것 같았다. 전기전도도의 경우에도 구리가 더 높아서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우선 0.2T*8mm 니켈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3*30 동부스바를 사용해서 설계를 하면 괜찮을 것 같다고 생..
2022.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