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30) Accumulator 작업일지

2022. 9. 3. 17:492021-2023 Project Clover/Accumulator

1. 셀에 다는 부스바를 생각해보았다. 중앙대에서는 부스바를 안달고 니켈 플레이트만 달았는데, 우리 셀의 경우에는 니켈 플레이트만 달면 허용 전류가 너무 적을 것 같았다. 

AARK 익명채팅

일단 최대 출력을 기준으로 계산해보았다.

52kW*2(모터를 2개 사용하고 모터의 최대출력이 52kW임)/2.5V*138(배터리 최저전압이 2.5V이고 138직렬임) =301A 정도 나왔다. 

 

니켈 플레이트의 허용전류는 이렇다고 한다. 

니켈 플레이트 허용전류

동부스바의 허용전류는 이렇다고 한다. 

동부스바 허용전류표

301A 이상을 버텨야 하니까 3*30 짜리 부스바를 사용하면 좋을 것 같았다. 

전기전도도 비교

전기전도도의 경우에도 구리가 더 높아서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우선 0.2T*8mm 니켈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3*30 동부스바를 사용해서 설계를 하면 괜찮을 것 같다고 생각했고, 전 회장님께서도 괜찮을 것 같다고 하셨다. 

 

2. 국내차에서 쓰인 온도센서

국내차 온도센서

m4 볼트에 끼우려면 드릴로 구멍을 더 뚫어야 할 것 같았다. 
BMS 설명서에 써진 온도센서와 관련된 이야기는 다음과 같았다. 10K를 써야 하고 다들 B값이 같아야 한다고 써있었다. 

 
3. 풀림방지에 관한 KSAE 질의 응답을 보니까 U너트도 허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배터리 전압, 전류와 관련된 기초 상식

 

배터리 제작 기초에 관련한 글 (나중에 읽어보면 좋을 듯 하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aulakiria&logNo=220637611931

 
5. 외국의 어떤 대학에서는 구리 와이어 본딩을 사용한다고 한다. 
POLITECNICO DI TORINO 와이어 본딩 사용
 
구리와이어(Copper Wire)는 가격이 저렴하지만 경도가 너무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경도가 높으면 볼이 잘 형성되지 않을 뿐 아니라 루핑 시 제약이 많고, 와이어의 볼본딩 시 칩의 패드에 높은 압력을 가해야 하므로 패드 하부 막질에 크랙(Crack)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요. 또한, 단단하게 와이어링(Wiring)된 패드의 껍질(Layer)이 벗겨지는 필링(Peeling) 현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칩의 금속 배선이 구리 성분인 만큼 점점 구리와이어를 사용하는 빈도수를 높이려는 추세이며, 이러한 구리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미량의 다른 소재와 합금하여 적용하고 있습니다. [SK 하이닉스]

<질문>

1. 동은 순전한 구리가 아니라 구리에 다른 물질이 섞인 합금으로 알려져 있는데 동부스바는 정확히 전기전도성이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다... -> 이건 업체에 물어봐야 할 것 같음. 

2. 동부스바에 구멍 뚫으면 단면적이 작아지는데 이것도 허용전류에 영향을 미치나?